객관적인 시선 속에서, 트레이더뉴스
반응형

트레이더뉴스 4

칼럼 : 트럼프의 혼란스러운 강달러와 약달러 정세 속에서

트럼프 정부가 추진하는 보편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뿐만 아니라 글로벌 환율 시장에도 큰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모든 수입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자국 생산품의 경쟁력을 높이려는 전략이지만, 동시에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해 미국 내 인플레이션 압력을 키울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강달러 정책을 유지하겠다고 공식적으로 발언하면서 시장의 혼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수입품 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 가치를 낮춰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보다는, 오히려 강달러 기조를 유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강달러는 미국의 글로벌 금융 패권을 유지하는 데 유리하지만, 자국 내 제조업과 ..

Main/칼럼 2025.02.10

칼럼 : 매드맨인가, 매드맨 전략인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기간 내내 극단적인 발언과 예측 불가능한 행동으로 세계를 놀라게 했다. 동맹국들에게 가차 없이 방위비 증액을 요구하고,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며, 북한을 향해 "완전한 파괴"를 언급하는가 하면, 또 다른 순간에는 정상회담을 추진하며 화해의 제스처를 보였다. 한편으로는 언론을 향해 "가짜 뉴스"라며 공격하면서도, SNS를 통해 직접 정책을 발표하는 전례 없는 소통 방식을 유지했다. 이처럼 일관성이 없어 보이는 그의 언행은 단순한 충동적 성격의 발현일까, 아니면 치밀한 전략적 계산에서 비롯된 것일까? 많은 비판가들은 그를 단순한 ‘매드맨(미치광이)’으로 보지만, 일부 분석가들은 그가 ‘매드맨 전략(Madman Theory)’을 활용해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려 했던 전략가일 가능성도..

Main/칼럼 2025.02.05

채권(Bond)?

채권(Bond)은 정부, 기업, 금융기관 등이 장기적인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부채 증서, Debt Instrument)다. 투자자는 채권을 구매함으로써 발행 기관에 자금을 빌려주고, 이에 대한 대가로 정기적인 이자(쿠폰, Coupon)를 지급받으며, 만기 시 원금을 상환받는다. 채권은 주식과 함께 대표적인 금융 투자상품이지만, 주식과 달리 원금 상환이 보장된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투자 자산으로 평가된다. 기업이 발행하는 회사채,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지방채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발행 주체에 따라 신용도와 이자율이 달라진다.채권 시장의 주요 종류국채(Government Bonds)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으로, 가장 안정적인 투자처로 평가됨.대표적..

트레이더뉴스 TraderNews

트레이더뉴스(TraderNews)는 블록체인 암호화폐를 공부하는 이들이 모여 발행하기 시작한 소식지입니다. 전통적인 금융시스템인 주식을 좋아했던 이들이 새롭게 등장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한 프로젝트들에 관심을 가지며 비트코인을 비롯한 암호화폐 정보를 모으고 정리하기 시작했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은 2008년 비트코인과 함께 등장한 기술로 현재 13여년의 역사를 가진 기술이기에 현재 시장에는 과도기적이라 부를 수 있을만큼의 다양한 신기술이 쏟아져나오고, 또 해당 신기술을 표현하기 위한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용어와 함께 이를 금융, 경제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금융 어휘까지 쏟아져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저희 트레이더뉴스는 13여년의 짧은 역사로 아직은 이렇다할 전문가가 없는 암호화폐 산업 속에서 '다 함께 발..

트레이더뉴스 2021.04.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