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비트코인이 6천만원이라는 가격을 돌파한 후 7천만원에 가까운 금액을 돌파하며 지금까지와는 다른 대중과 전문가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지금까지 비트코인을 자산으로 인정하지 않던 금융전문가들이 조금씩 자산으로서 인정하는 의견을 내놓는 것과 함께 코로나 사태 등 여러 이슈가 맞물리며 향후 억 대 이상의 가격 상승과 함께 디지털 금으로서의 또 다른 안전 자산이 될 것이라는 전망까지 내놓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렇다보니 그 전까지는 그저 비트코인을 소수 도박꾼들의 놀이 정도로 생각했던 대중의 인식이 조금씩 바뀌면서 비트코인이라 불리는 암호화폐는 무엇이며 이 암호화폐라 불리는 것들의 기반 기술이라 불리는 블록체인이 무엇인지에 관한 관심도 뜨거워진 상태인데요. 그 초기 개발 원리와 시작점은 확실하지만, 아직까지도 계속해서 응용되며 헛점을 발견하고 보완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인만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보니 그 개념에 관한 어제와 오늘의 설명이 다를 수 있는 개념이다보니 아직은 혼란스러운 모습이죠.
가장 기본적인 이야기를 하자면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여러 곳에 분산해서 저장하는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위변조 방지 기술이라고 정리할 수 있는데요. 사실 이 블록체인을 이야기할 때 비트코인에 관한 이야기가 빠질 수 없는 이유는 비트코인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최초의 전자화폐이기도 하면서, 사실 블록체인은 중앙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화폐 '비트코인'을 만들기 위한 과정에서 탄생한 기술이기 때문이죠.
사카시 나카모토라는 익명을 이용하는 비트코인 개발자는 처음 중앙에서 모든 것을 관리하는 기존 화폐제도를 못 마땅하게 여기며 중앙에서 통제를 하지 않으면서도 모든 화폐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화폐를 개발하기 위한 목표로 첫 개발을 시작했다고 하는데요. 하지만, 중앙통제시스템이 없는 화폐라는 것은 디지털 화폐로 새롭게 등장을 한다고 하여도 결국 그 화폐를 많이 가지고 있는 누군가에 의해 가격 조정이 이루어지기 무척 쉽고, 디지털이라는 특성상 위조와 변조, 복제가 지나치게 쉽게 일어날 수 있다는 점들을 보완해야 했었죠.
이런 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블록체인 기술인데요. 화폐를 가지고 있는 모두가 현재까지의 화폐 이동 내역을 보유함으로써 하나를 위조, 변조, 복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것으로 위변조, 복제가 쉬운 디지털 화폐로서의 단점을 보완해내면서 중앙서버에만 기록이 남는 것이 아니라 화폐이자, 토큰을 가진 모두가 기록을 각자 보유하는 것으로 중앙통제시스템도 존재할 필요가 없게 만든 것이 바로 이 블록체인 기술이죠.
간단하게 다시 정리하자면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을 펼치면서 통화량을 조절하고 통화의 이동내역을 기록, 관리하면서 그에 맞는 향후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존 한국은행이라는 중앙에 의해 통제되는 화폐 시스템과는 반대되는 새로운 시스템을 개발한 것인데요. 화폐를 보유하고 있는 모든 이들이 화폐의 이동내역을 보유하는 것으로 화폐가 위조, 변조, 복제되는 것을 방어하면서 통화량이 그저 이용자들의 쓰임에 따라 변화하는 한 명, 한 명이 블록으로서 존재하고 모두가 체인처럼 얽힌, 모두가 중앙이면서 모두가 중앙이지 않은 시스템을 만들어낸 것이죠.
물론 이렇게 중앙이 존재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비트코인에도 헛점이 존재하고 그 헛점을 보완하는 다른 알트코인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현재의 암호화폐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는 것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블록체인에 관한 간단한 정의를 진행해보았으니 다음 글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조금 더 디테일한 이야기와 함께 추가로 등장한 알트코인에 관해서도 이야기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Main > 투자 지식 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0) | 2025.02.09 |
---|---|
PER과 PBR (0) | 2025.02.05 |
채권(Bond)? (0) | 2025.02.04 |